사회당 대변인2010. 12. 21. 15:43

정부가 경상남도의 4대강 사업권을 회수했다. 지방정부가 중앙정부의 도급 업체도 아니고 이렇게 강제로 사업권을 회수하는 게 가당키나 한 일인가. 이는 4대강 사업과 관련해 모든 것을 힘으로 밀어붙이겠다는 ‘막가파식’ 국정운영이다. 당장 경상남도에서는 법적 대응을 불사하겠다고 하니, 이래서야 어떻게 국민 화합과 통합을 말할 수 있겠나.


국민이 반대하면 왜 그런지 그 뜻을 헤아리는 게 순리다. 정부는 사업권 회수를 철회하고 4대강 속도전을 중단하라


20101115
사회당 대변인 조영권

Posted by alternative
사회당 대변인2010. 12. 21. 15:42
대법원이 용산참사 당시 농성자들에게 유죄 확정 판결을 내렸다. 법원은 “화인을 피고인이 던진 화염병이라고 본 원심의 판단이 수긍된다”라며 이충연 용산철거대책위원장과 농성자들에게 징역 5년 등 중형을 확정했다. 법원은 또 “경찰의 공무집행을 위법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판결로 우리는 이 나라 사법부의 한계를 다시 한 번 절감한다. 법원은 사회적 약자인 철거민의 처지와 아픔을 이해하고 보듬어주지 못했고, 정권과 토건 자본의 편에서 부당한 공권력을 옹호하며 편향된 판결을 내렸다. 법원은 그들에게 유죄를 내렸지만, 역사가 부당한 공권력에 유죄를 내릴 날이 올 것이다. 용산참사 농성자들은 무죄다.


2010년 11월 11일
사회당 대변인 조영권
Posted by alternative
사회당 대변인2010. 12. 21. 15:41
국가인권위원회가 파행으로 치닫고 있다. 3명의 상임위원 중 유남영 위원과 문경란 위원 등 2명이 사퇴한 가운데 10일 조국 비상임위원도 사퇴했다.


사 태의 책임은 이명박 대통령과 현병철 위원장에게 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초기 인권위가 인력을 과하게 운영하고 있다며 인력 감축을 추진했고, 끝내 인권과 관련한 이력이 전혀 없는 현 위원장을 임명했다. 그리고 현 위원장은 보란 듯이 인권을 정권의 입맛에 맞게 왜곡하기 시작했다. 현 위원장은 인권위의 독립성을 훼손하며 정권에 불리한 주요 사건들에 대해 침묵했고 상임위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등의 독단적인 운영으로 인권위를 파행으로 치닫게 했다.


사태가 이러함에도 이명박 대통령은 또다시 인권 문제에 대한 경험이 없는 김영혜 법무법인 ‘오늘’ 대표변호사를 인권위 상임위원으로 내정했다. 상임위원 사퇴 9일 만의 일이다.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색으로 인권위를 장악하겠다는 불순한 뜻을 품지 않는 이상 이럴 순 없다.


현병철 위원장은 당장 사퇴하라. 이것만이 인권위가 권력의 손에서 벗어나 국민의 편에 설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2010년 11월 11일
사회당 대변인 조영권
Posted by alternative
사회당 대변인2010. 12. 21. 15:40
검찰이 ‘친환경 무상급식 풀뿌리국민연대(무상급식연대)’ 배옥병 상임운영위원장을 공직선거법 위반 협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무상급식연대의 활동이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검찰의 논리인데, 10년을 해온 무상급식운동에 돌연 선거법 위반 딱지를 붙이는 게 가당한 일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검찰의 이번 기소는 유권자의 정치 참여를 가로막고 시민운동 본령을 침해하는 일이다. 그뿐만 아니라 지난 지방선거를 거치며 더욱 촉발되고 있는 무상급식 운동을 탄압하겠다는 선전포고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보편적 복지의 상징이 된 무상급식에 대해 이런저런 딴죽을 걸던 정부가 이제는 공권력을 동원해 그 운동을 무력화시키려 하는 것이다.


무상급식연대의 활동은 정당하다. 검찰은 배옥병 상임운영위원장에 대한 부당한 수사를 즉각 중단하라.
 
2010년 11월 10일
사회당 대변인 조영권
Posted by alternative
사회당 대변인2010. 12. 21. 15:39

9일, 이태준 사회당 당원이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를 선언한다. 그는 병역 거부 소견서를 통해 "그곳에는 침묵과 복종만 있을 뿐, 이성적 사유와 평화·공존의 노력은 정지된다"라며 군대 대신 감옥을 선택했다. 평화를 원하는 양심의 소리에 따라 고뇌에 찬 결정을 내린 이태준 당원의 행동에 지지의 뜻을 함께 보낸다.


양심의 자유는 대한민국 헌법이 보장한 국민의 기본권이다. 유엔 인권기구 등 국제사회 역시 이미 수차례 양심적 병역거부권 인정과 대체복무제 도입 문제를 권고한 바 있다. 그럼에도, 이명박 정부는 애초 결정을 뒤엎고 대체복무제 도입을 무기한 보류시켰다. 인권과 양심을 위한 민주주의는 퇴행했고, 그 사이 또 수많은 젊은이는 감옥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평화의 대가가 차가운 감옥이어야 하는 안타까운 현실은 하루빨리 바뀌어야 한다. 이명박 정권은 지금 즉시 대체복무제를 도입하라. 우리는 이태준 당원의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가 대체복무제 도입을 위한 소중한 울림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2010년 11월 9일
사회당 대변인 조영권

Posted by altern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