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비극의 기원과 역사
1. 아프가니스탄은 어떤 나라인가?
2. 근대국가의 수립과 공산정권의 등장
3. 소련의 침공과 지하드, 그리고 아프간 내전
4. 탈레반의 등장과 집권
5. 벼랑 끝에 선 탈레반, 그리고 미국의 대테러전쟁
이슬람주의자들의 출발점은 이슬람의 일상경험, 즉 하나의 문화적 형태로 해석된 이슬람이 아니라 하나의 정치적 통찰력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종교적 귀의는 종교적 신앙의 결과로서가 아니라 정치에서의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울레마는 사회 내의 관계의 토대 위에 있는 정치를 법에 의해 수립된 것으로 정의했다. 국가는 무슬림 사회 내에서 정의가 작동되게 하는 수단이다. 정치사상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것은 바로 무슬림 혹은 무슬림 공동체이다. 정치는 법이 확장된 것이다. 이슬람주의자들에게 사회의 본질은 국가의 본질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이다.(Roy, 1986: 80)
공산정부는 토지 재분배와 고리대금의 폐지와 같은 급진적인 개혁을 시행했다. 그러나 이 개혁은 아프가니스탄의 전통적인 사회관습과 생활현실을 도외시한 채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도시 카불에서는 도시 엘리트와 지식인을 상대로 무자비한 숙청과 투옥이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민심이 이반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산정권에 등을 돌리게 된다. 그 가운데 상당수는 무기를 들고 공산정권에 저항하는 지하드(Jihād, 聖戰)*에 동참하여 무자헤딘이 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소요와 봉기기 빈번하게 일어났으며 이제 갓 들어선 공산정권은 위기를 맞게 된다.
소련으로서는 이러한 사태를 그냥 지켜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소련은 결국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기로 결정하고 1979년 12월 카불 내 주요 거점을 장악하고 다룰라만 궁을 공격했다.
소련은 카르말을 대통령으로 앉히고 유화정책을 폈다. 동시에 소련을 모델로 한 아프가니스탄의 소비에트화를 꾀했다. 하지만 무자헤딘의 저항은 갈수록 거세졌다.
아프가니스탄에 별 관심이 없었던 미국은 소련이 침공하자 갑자기 이 나라의 전략적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무엇보다 페르시아 만의 산유지가 돌연 소련의 공격권 안에 훨씬 가까이 들어오게 된 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미국 대통령 카터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평화에 대한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 규정하고 모스크바 올림픽을 보이콧하는 등 강경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로써 미국은 공산정권 및 소련군과 무자헤딘간의 전투가 격화되고 장기화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미국은 파키스탄을 통해 무자헤딘에게 막대한 무기와 자금을 지원했다. 미국 외에도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 등 이슬람국, 또 소련과 적대관계에 있었던 중국이 무자헤딘의 지원에 발 벗고 나섰다.
소련은 처음에 불과 서너 달이면 아프가니스탄 내의 소요와 무장봉기를 진압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으나 그러지 못했다. 소련은 미국의 지원을 받아 게릴라전을 편 무자헤딘과 힘겨운 싸움을 벌여야만 했고 해가 흐를수록 무자헤딘의 저항은 점점 거세졌다.
1984년 브레즈네프가 죽고 이듬해 고르바초프가 공산당 서기장에 오르면서 소련은 몇 년 동안 큰 짐이 되어온 아프가니스탄 점령을 재고하기 시작했다. 아프가니스탄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이 진행되었고 1988년 4월 제네바 협정이 타결되었다. 소련은 그 해 5월 철수를 시작하여 이듬해 2월 마지막 부대가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다.
소련군이 물러나면 나지불라 정권이 곧 무너질 것으로 보였으나, 나지볼라는 이때부터 몇 년간 카불을 지키며 건재했다. 소련이 아프간 정부군에게 많은 무기를 넘겨주고 군사지원을 계속했기 때문이며, 무자헤딘 여러 정파가 단합하기보다 서로 주도권 싸움에 바빴기 때문이다.
그러나 1992년 1월 러시아와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군사 지원을 중단하기로 합의하고 파키스탄도 이에 따르자, 대세는 현격하게 무자헤딘 쪽으로 기울었다. 이에 따라 같은 해 4월 28일 무자헤딘 지도자들로 구성된 ‘이슬람 지하드 위원회’가 카불에 입성하여 아프가니스탄이슬람공화국을 세우게 된다.
그러나 싸움은 멈추지 않았다. 이제는 카불을 둘러싼 무자헤딘 여러 파간의 본격적인 내전이 시작된다. 그 와중에 1995년, 탈레반이라는 신비의 세력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며 결국 탈레반은 1996년 카불에 입성했다.
__________
* 당시 아프가니스탄에는 수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여 이란과 파키스탄으로 이주하였다. 그런데 지하드는 종교적인 관점에서 볼 때, 아프가니스탄이 세속 세력에 의해 훼손되고 그로 인해 더 이상 이슬람 국가로 남아 있을 수 없게 되어 상당수 주민들이 이웃 이슬람 국가들로 탈주하는 상황에서 정당화된다. 서기 622년 무함마드가 물질적, 정신적으로 가해진 박해에 맞서 메카에서 메디나로 도피한 사실은 바로 이러한 종교적 권리에 대한 필요조건을 충족시켜 주는 전례를 제공하고 있다.
'2010.6.21 > 물이되는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고] 김태현 교수의 ‘미국 책임론의 위험성’에 대한 반론 (0) | 2007.08.10 |
---|---|
아프가니스탄 비극의 기원과 역사2. 근대국가의 수립과 공산정권의 등장 (0) | 2007.08.08 |
아프가니스탄 비극의 기원과 역사1. 아프가니스탄은 어떤 나라인가? (0) | 2007.08.06 |